티스토리 뷰

세계유산

 
세계 문화유산은 인류의 공통 유산으로,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유산은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고 가치 있는 문화재와 역사적 장소를 대상으로 하며, 이들은 인류의 미래를 위해 보존되어야 합니다. 이번에는 세계 문화유산의 개념과 중요성, 그리고 대표적인 한국의 세계유산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세계유산이란?

세계문화유산은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이어받는 역할을 합니다. 물건, 건축물, 예술품, 유적 등 다양한 유형의 문화재와 관련된 자연환경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유산은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인류의 공통적인 유산으로서 보호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선발되어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됩니다. 이 목록은 1972년 유네스코에서 세계유산협약을 발표한 이후 1978년에 최초 등재되었으며, 목록에는 총 1,155개의 유산이 등재되어 있습니다.
 
 

2. 세계유산 등재 기준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기준이 있습니다.

첫째는 '보존상태'입니다. 해당 유산이 오랜 기간 동안 유지되었는지, 전통적인 방법으로 보존되었는지, 그리고 보존 상태가 얼마나 양호한지 등을 평가합니다.

둘째는 '역사적, 예술적, 과학적 가치'입니다. 해당 유산이 역사적, 예술적, 과학적인 면에서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평가합니다.

셋째는 '보편적 가치'입니다. 해당 유산이 인류 전체에게 미치는 보편적 가치를 평가합니다. 그 밖에도 세계에서 유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등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유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됩니다. 이를 통해 해당 유산이 보호되고 인류의 공통적인 유산으로서 인식되어 문화의 다양성과 융합을 존중하며 보존하는 데에 기여합니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된 유산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고, 관광객들의 관심을 받는 등 다양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창덕궁

 

3. 세계유산의 분류

세계 유산은 문화유산, 자연유산, 그리고 복합유산으로 크게 구분됩니다. 문화유산은 인류의 역사, 예술, 종교, 철학, 과학 등과 관련된 역사적, 예술적, 사회적, 종교적, 과학적으로 중요한 유산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타히치 광산과 같은 문화유산은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면서도 지역 경제 발전과 문화 교류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자연유산은 지구의 생물다양성, 지질학적 역사, 지구환경, 지형적 특성,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등 지구 자연환경과 관련된 유산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 대륙의 세레니티 국립공원과 같은 자연유산은 지구 생태계의 보존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복합유산은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이 함께 포함된 유산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아시지 군도와 같은 복합유산은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이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습니다.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면 해당 유산을 보존하고 지역 경제 발전과 문화 교류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각 국가는 자국의 유산을 보호하고 국제사회와 교류를 통해 자국의 문화유산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계 유산 등재는 국가와 지역사회에 큰 가치를 제공합니다.
 
 

4. 한국의 세계유산

한국은 현재 15개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제주화산섬과 한국의 갯벌 2개는 자연유산이며, 나머지 13개는 문화유산에 해당됩니다. 자세한 목록은 아래 표를 살펴보세요.
 

1995년 석굴암, 불국사1995년 해인사 장경판전1995년 종묘
1997년 창덕궁1997년 화성2000년 경주역사유적지구
2000년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2007년 제주화산섬과 용암동굴2009년 조선왕릉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4년 남한산성2015년 백제역사유적지구
2018년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2019년 한국의 서원2021년 한국의 갯벌

 
 

5. 세계문화유산 보존과 관리

세계문화유산은 보존과 관리가 필요한 문화유산으로, 국제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유네스코는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세계유산위원회

세계유산위원회(WHC)는 유네스코의 기구로,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을 지정하고, 관리 및 보전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 위원회는 사실상 세계유산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복잡한 문제들은 많은 회의와 조사를 통해 해결하고 있으며, WHC는 매년 다양한 이슈에 대해 논의하는 회의를 개최합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WHC는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최고의 기구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세계유산기금

세계유산기금(World Heritage Fund)은 유네스코에서 운영하는 기금으로,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기금은 세계문화유산 및 세계자연유산 지정, 유산보전을 위한 기술 지원 등에 사용됩니다. 세계유산기금은 또한,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유산의 홍보 및 보존, 문화재 복원, 지역사회 및 문화체험 프로그램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세계유산기금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다양한 제휴 및 협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중요한 유산을 보존하고 지원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세계유산도시

세계유산도시(World Heritage Cities)는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한 도시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도시들의 보존, 개발, 관리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국제적인 협력과 지원을 진행합니다.

세계유산도시 프로그램은 지난 20년간 많은 도시들이 참가하여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문화유산들이 보존되고, 도시의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국제적인 협력과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하였습니다.

세계유산도시 프로그램에는 여러 가지 혜택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유네스코와의 협력과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국제적인 연구와 교류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국의 도시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시키는 것은 해당 도시의 관광산업과 지역사회 발전에 큰 도움이 되므로, 많은 나라들이 이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습니다.

 

  • 세계유산교육프로그램

세계유산교육프로그램( World Heritage Education Programme)은 세계문화유산과 세계자연유산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교육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유산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유산 보전에 대한 국제적인 협력을 촉진하며, 또한 유산 보전에 대한 교육적 이해와 관심을 확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세계 각국의 학생들은 자연과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지식과 인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다양한 제도와 정책들은 세계문화유산의 보전과 유지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들 중 일부입니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되어 세계문화유산이 보존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화성

 
 
세계유산은 문화적 유산으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유산은 인류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반영하며, 우리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자원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세계유산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세계유산은 우리가 과거와 현재의 문화를 비교하고, 다양한 문화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세계유산은 또한 우리에게 역사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우리는 과거와 현재의 인류의 발전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계유산의 보존과 관리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러한 노력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며, 복잡한 기술과 방법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세계문화유산을 보존하고 관리하는 것은 우리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일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계속 지속되어야 하며, 우리는 세계유산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사진 출처 - [소장기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이트: 공공누리]